-
혈압이 높게 나왔어요, 고혈압인가요?일반 의료상식 2020. 12. 28. 15:16
<div>아이콘 제작자 <a href="https://www.flaticon.com/k 혈압이 혈압이 높게 나왔어요, 고혈압인가요? 라고 질문 하시는 분들이 종종 있습니다.
혈압이 높게 나온 것이 한번 뿐이라면 고혈압이 아닙니다.
활동을 하거나, 긴장을 하거나, 커피를 마셨다거나, 자세가 바르지 않은 상태에서 혈압을 측정한다던가 일시적으로 혈압이 올라가는 원인은 다양합니다.
[그렇다면 고혈압이란 뭘까요?]
고혈압은 지속적으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인 상태 입니다.
고혈압은 뇌혈관, 심장, 혈관, 신장 질환의 주요한 수정 가능한 위험인자로 조기 진단과 효과적인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고혈압은 진단 받지 않고 조절하지 않는 동안 진행되며 종말기관에 치료할 수 없는 상태의 손상을 유발함으로 "침묵의 살인자"라고 불립니다.
따라서 조기 발견하여 조절함으로써 합병증을 최소화하여 생명을 연장시키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고혈압 진단기준]
혈압분류 수축기 혈압 이완기 혈압 초기 약물 치료 필수 적응이 없을때 2) 필수 적응이 있을때 정상혈압1) <120 그리고 <80 약물 복용 불필요 고혈압전단계 120~139 또는 80~89 항고혈압제 사용안함 항고혈압제사용함 고혈압 1기 140~159 또는 90~99 주로 thiazide 계 이뇨제 병용요법, 기타약제 사용가능 필수적응 해당 약제
+3)기타약제2기 >=160 또는 >=100 주로 2가지 약제 병용요법 1)심혈관 발병 위험이 가장 낮은 최적 혈압
2)필수 적응이 없을때: 심부전, 심근경색의 과거력, 높은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위험 당뇨병, 만성 신질환이 없는 상태
3)기타 약제: 이뇨제, ACE 억제제,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베타차단제, 칼슘차단제 등
*만성 신장지로한이나 당뇨병 환자의 치료 목표는 혈압이 130/80mmhg 미만이다.
[고혈압의 원인이 뭘까요]
일차적으로 본태성 고혈압 일 수 있습니다. 이는 선천적으로 혈압이 높은 것으로 유전, 호르몬 변화, 교감신경 흥분 등이 있습니다.
이차적으로 원인에 의해 생긴 고혈압은 신장, 부신과 내분비 원인, 기타(음주, 경구피임약, 뇌종양, 임신성 혈압, 대동맥 협착 등) 에 의해 생길 수 있습니다.
그 밖에 비만, 포화지방의 과다섭취, 과다한 염분섭취, 흡연, 음주, 스트레스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고혈압엔 어떤 증상과 징후가 있을까요]
고혈압은 "침묵의 살인자" 로 불리는 바와 같이 뇌, 심장, 신장을 포함한 종말 기관의 심한 손상이 발생될 때 까지 무증상인 경우가 많습니다.
심한 고혈압 환자는 피로, 호흡곤란, 심계항진, 현훈, 협심증, 활동장애 등을 호소하고
진행성이나 치료받지 않고 있는 고혈압 환자는 두통, 특별히 이른 아침에 두통이 발생되고, 눈이 침침해지며 특별한 이유 없이 비출혈이 발생하고 우울해 집니다.
[합병증]
주요 장기에 대한 진행성 손상, 뇌병증, 신부전, 좌심부전, 망막 출혈
[치료]
두가지의 방법이 있습니다. 생활습관의 교정과 약물 요법이죠
생활습관 교정
체중조절, 음주제한, 염분제한, 적절한 운동, 금연
약물 요법
최소한의 부작용으로 혈압을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하기 위해 의사와 상담이 필요합니다.
약물 요법이 필요한 환자는 남은 생에 동안 꾸준히 혈압 강하제를 복용해야합니다. 고혈압은 증상이 없기 때문에 약물을 자주 끊는 경우가 있는데, 위험합니다^^ 당뇨약도 마찬가지로 갑자기 끊으면 문제가 되며 의사와 상의 후 약제를 조절하시기 바랍니다
'일반 의료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단 면역이란? (0) 2021.01.14 국내에서 영국발 변종 코로나 바이러스? 변종바이러스는 뭐야? (0) 2020.12.29 코로나 사회적 거리두기 3단계로 격상된다면 (0) 2020.12.27 코로나 검사, 저도 해야하나요? 언제 결과 나와요? (0) 2020.12.27 임산부 약 복용/ 가능한가요? 어디서 확인하나요? (0) 2020.0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