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슐린 주사와 관리는 어떻게 하나요?일반 의료상식 2020. 8. 28. 23:40
당뇨란 무엇일까, 진단은 어떻게 할까? 혈당 수치 정상치는? <1>
당뇨병(diabetes mellitus)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은 것이 특징인 질환입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eggmung.tistory.com
당뇨란 무엇일까, 혈당 조절은 어떻게 할까? <2>
" data-og-description="당뇨병(diabetes mellitus) 인슐린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정상적인 기능이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혈중 포도당 농도가 높은 것이 특징인 질환입니다. 이름에��
eggmung.tistory.com
지난번에 당뇨에 대해서 알아보았죠~
당뇨는 인슐린 조절이 안되어서 혈중에 포도당이 많이 존재하고 이로 인해 혈액이 끈적끈적 해져서
신경병증, 말초혈관질환이 발생한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인슐린을 공급해줘야 하는데
그 방법에는 먹는 인슐린, 그리고 주사 인슐린이 있다고 하였습니다.
먹는 인슐린은 그냥 복용하면 되지만 주사 인슐린은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
사실 의료인이 아니라면 직접 주사를 놓아본 경험이 없기 때문에 처음엔 떨릴지도 몰라요
하지만 혈관을 찾는 것도 아니고 피하에다가 주사하기만 하기 때문에 어렵지 않습니다.
중요한 것은 정확한 용량, 시간, 부위, 방법을 지켜서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인슐린은 소량으로도 전신에 아주 큰 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용량이 매우 중요하답니다.
고혈당 또는 저혈당이 올 수 있어요
그렇다면 어떻게 인슐린을 줄 것인가?!
병원에서는 바이알에서 인슐린을 재서 환자에게 주기도 하고 펜을 이용하기도 하는데요
가정에서는 펜을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펜 사용법에 대해서 알려 드릴게요!
인슐린 펜으로 자가 주사 하는 방법
1. 약물 이름, 용량, 맞아야 할 시간을 확인합니다.
처방이 어떻게 되어있는지 확인합니다.
몇 시에 어떤 약을 얼마나 맞을 것인지 알아야 합니다
2. 어디다 맞을 것인 가를 정합니다.
-복부에 보통 맞게 되며 배꼽 주변은 피해야 합니다.
배꼽부위 5cm 정도의 반경을 제외한 복부 전체는 피하지방이 충분합니다.
복부 > 상완부 > 대퇴부 > 둔부 순으로 흡수율이 좋습니다.
팔, 다리는 움직임이 많아 인슐린 흡수시간에 영향을 주어 복부가 인슐린 투약에 적절합니다.
복부는 자가주사가 용이합니다.*임산부, 간질환 등으로 복수가 차서 복부 피하지방에 주사하기 용이하지 않은 경우 팔, 다리에 주사할 수 있습니다.
-같은 부위에 계속 맞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1cm의 간격을 두고 다른 부위에 맞아야 합니다.
잘 모르겠다면 인슐린 주사 표를 그려 표시하면서 주사를 해야 합니다.
- 피부 상태가 양호한 곳에 주사합니다. 염증, 감염의 지후, 깨끗하지 못한 부분은 안됩니다.
출처: 서울삼성병원 홈페이지 3. 손을 깨끗이 씻고 준비물을 챙겨봅니다.
알코올 솜, 주사바늘, 그리고 인슐린 펜
*혼합형일 경우 가볍게 흔들거나 손바닥에서 굴려 섞어줍니다.4.뚜껑을 열고 알코올 솜으로 입구를 닦습니다
주사침의 종이 덮개를 떼고
인슐린 용기에 주사침을 꽂고 나사를 돌려 끼웁니다.5. 주사침의 바깥 뚜껑과 속 뚜껑을 모두 뺍니다. 바깥 뚜껑은 보관합니다.
6. 주사침을 위로 가게 하고 약 있는 부분을 손가락으로 두드려 공기가 위로 가게 하고 2IU 정도 맞춰 주사침 끝에 한 방울이 보일 때까지 푸시버튼을 눌려 공기를 제거합니다.
7. 용량을 맞춥니다
8. 주사할 부위를 알코올 솜으로 소독하고 주삿바늘을 모두 삽입한 후 푸시버튼을 누른 뒤 10초를 셉니다.
9. 바늘을 빼고 알코올 솜으로 문지르지 않고 수초간 누릅니다.
10. 주사바늘은 캡을 끼워 돌려서 빼서 버리고 펜은 뚜껑을 씌워 실온에 보관합니다.
인슐린 주사 관리법
사용 중인 인슐린은 실온 보관(15~20도),
사용하지 않은 인슐린(2~8도)은 냉장보관입니다!
개봉한 인슐린은 4~6주 사용합니다
'일반 의료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로나 검사, 저도 해야하나요? 언제 결과 나와요? (0) 2020.12.27 임산부 약 복용/ 가능한가요? 어디서 확인하나요? (0) 2020.09.30 응급실에서 자주하는 질문들 (0) 2020.08.22 간호간병서비스란? (0) 2020.08.16 바이오 시밀러란?? (0) 2020.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