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스트레스! 신체에 어떤 반응이! 어떻게 스트레스를 풀까
    일반 의료상식 2021. 1. 25. 20:44

    <div>Icons made by <a href="https://www.freepik.com" title="Freepik">Freepik</a> from <a href="https://www.flaticon.com/" title="Flaticon">www.flaticon.com</a></div>

    현대인들은 많은 스트레스 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학생부터 직장인, 주부 여러 사람들이 모두 각기 다른 스트레스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트레스란 무엇이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 

     

    스트레스란 무엇일까요?

     "스트레스란 인체의 균형을 깨려고 하는 어떤 원인에 대해여 신체 전체 혹은 대부분의 기관이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적응반응을 말하며, 그런 반응을 일으키게 하는 요인을 스트레스원"

    인체의 균형을 깨려고 하는 원인에 대해 노력하는 적응반응이라고 정의한 것으로 보아

    스트레스 차체는 긍정적일 수 도 부정적일수도 있겠습니다. 

     

    스트레스의 원인은 무엇일까요?

    스트레스의 원인은 아주 다양합니다

    유전적요인, 물리화학적요인(열, 냉, 방사성물질, 약물 등)미생물과 기생충, 심리적요인, 문화적요인, 미래의 충격, 이주, 생태적요인, 직업적요건, 첨단과학기술 등 여러가지가 스트레스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 관련하여 세가지 이론이 있습니다. 

    1. 반응으로서의 스트레스

    서로 다른 스트레스원이 유사한 신체적 반응을 유발한다는 이론입니다. 

    스트레스원이 중추신경계를 자극하면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과 자율 신경계의 활성화로 복잡한 반응이 나타나며, 이 반응에서 신경계, 내분비계 및 면역계의 변화가 초례된다고 합니다. 

     

    또한 스트레스에 대한 적으의 예로 염증반응을 들고 있는데 염증 상태가 되면 인체는 전신적응이나 국소적응으로 경고단계 저항단계, 소진단계의 3단계를 모두 거쳐 반응한다고 합니다. 

     

    1)경고단계

    스트레스 반응의 첫 단계입니다. 

    개인이 스트레스원을 신체적 또는 정신적으로 지각하면 도전-도피 반응이 나타납니다. 

    혈압, 맥박 및 호흡수 증가, 위장관 운동성 감소, 발한, 오심, 식욕 부진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2)저항단계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생리적 저장고가 동원되는 단계입니다. 

    이 시기에 적응르 위해 에너지를 소모합니다.

    적절한 자원(친구, 가족, 건강전문가 등) 을 잘 이용한다면 스트레스원으로 부터 성공적으로 회복하나 그러지 못한다면 다음단계인 소진단계로 이동합니다. 

     

    3)소진단계

    신체가 소생하기 위한 마지막 노력으로 경고단계의 신체적 증상이 일시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외부자원의 도움이 없다면 질환 또는 사망에 이를 수 있다고 합니다. 

    2. 자극으로서의 스트레스

    스트레스를 개인의 항상성 균형을 방해하는 자극 또는 사건으로 보는 이론입니다. 

    생활사건에 관한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많은 질문지들이 개발되었습니다. 

    3. 인간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으로서의 스트레스

     

     

     

    개인의 노력이 문제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에 중점을 둔다면 이는 정서중심 대처입니다. 

     

    대처할 때 융통성과 시간 및 스트레스 상황에 따라 대처전략을 바꿀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이 스트레스 상황을 훨씬 더 잘 다룰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대처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1. 문제 해결을 위해 자료를 수집하기

    2. 자신 또는 환경을 변화시키기 위한 직접적인 행동을 수행하기

     

    스트레스가 인체의 균형을 깨려고 하는 어떤 원인에 대해서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적응적 반응이라 하였습니다.

    그래서 저는 스트레스 관리를 위해서는 첫번째로, 그 원인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 다음 원인을 조절할 수 없다면 나의 감정을 조절 하는 것이 두번째로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